복지포인트에도 세금을 내야 한다고요?

복지포인트란 회사가 직원 복리후생 차원에서 매년 지급해 임직원이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말하는데요. 지난 12월 24일, 대법원이 복지포인트를 '근로소득'에 해당한다고 봤어요. 대법원 판례 변경으로 바뀐 점을 살펴볼까요?

💸 복지포인트, 이제는 근로소득이래요

복지포인트란 회사가 직원 복리후생 차원에서 매년 지급해 임직원이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말하는데요. 지난 12월 24일, 대법원이 복지포인트를 '근로소득'에 해당한다고 봤어요. (대법원 2024.12.24. 2024두34122 판결) 

사실 과거에도 이 문제로 다툼이 있었어요. 회사가 복지포인트를 급여대장에 넣어 세금을 공제하자, 직원들이 "복지포인트 과세는 위법이다. 부당 공제분을 돌려달라"며 반발했거든요. 그런데 이번에 대법원이 일과 관련된 경제적 혜택이라고 판단했어요. 직원들이 복지포인트로 물건을 살 수 있으니 ‘경제적 이익'을 받는다는 판결이죠.

📝 판례 변경으로 바뀐 점은?

  1. 경제적 이익 인정: 대법원은 복지포인트가 건강관리, 자기 계발 등으로 용도가 제한되고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되지만, 정해진 기간과 용도 내에서 필요한 물건이나 서비스를 자유롭게 살 수 있어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준다고 봤어요.
  2. 근로소득 O, 임금 X: 복지포인트는 세금 부과 대상인 '근로소득'에는 해당하지만, 근로기준법상 '임금'으로 본 것은 아니에요. 그래서 퇴직금 계산에 포함할지는 회사마다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3. 세무 처리 영향: 회사는 복지포인트 지급 시 소득세를 원천 징수해야 해요. 직원들에게는 실질적인 수령액이 줄어들 수 있는 변화입니다.

복지포인트 제도를 운영 중인 스타트업 대표님들, 판결을 참고해 세무 처리를 다시 점검하고 직원들에게도 변경된 내용을 설명해 드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 본 내용은 노무법인 청록의 박상민 노무사님과 함께 작성하였습니다.

Read more

디캠프 X 캐비지, 어르신들과 함께한 아주 특별한 배식 봉사 현장

디캠프 X 캐비지, 어르신들과 함께한 아주 특별한 배식 봉사 현장

8월 20일, 디캠프와 디캠프 패밀리사인 캐비지(어글리어스, 대표 최현주)가 손을 잡고 사회공헌 캠페인의 일환으로 어르신들께 배식 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사회공헌 캠페인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아현뿌리복지센터에서 진행되었는데요, 마포구의 '효도밥상' 프로그램으로 타 지자체에서 벤치마킹하러 찾아올정도로 핫한 주민 참여형 지역공헌 사업이라고 합니다. 바로 이 곳에서 업무로 바쁜시간에도 짬을 내어 디캠프와

바이브코딩의 시대, 이제는 필수 스킬!

바이브코딩의 시대, 이제는 필수 스킬!

디캠프 8월 다이닝 - 바이브코딩의 시대 w 스페이스와이 디캠프 선릉과 마포에서 열린 8월 다이닝 세션이 성황리에 진행되었습니다. 8월 다이닝은 요즘 가장 주목받는 키워드인 <바이브코딩>을 주제로 열렸습니다! 이번 세션은 디캠프 패밀리사인 스페이스와이(대표 황현태)에서 바이브코딩이 무엇인지부터 활용 사례와 실습 등 알찬 구성으로 진행해주셨는데요, 단순한 이론 설명을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