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거대 AI의 거짓말을 멈추게 하는 법

모르는 게 없어 보이는 초거대 AI에게도 약점이 있는데요. 바로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현상과 데이터의 비실시간성이에요.

Image

🙄 모르는 게 없어 보이는 초거대 AI에게도 약점이 있는데요. 바로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현상과 데이터의 비실시간성입니다. 먼저 할루시네이션 현상은 AI가 그럴듯한 거짓말을 지어내는 현상인데요. 사실을 기반으로 해서 문장을 만든다기보다 확률적으로 그럴듯하게 글을 써내는 것에 가까운 초거대 AI 원리의 한계 때문에 이런 현상이 생겨요. ChatGPT의 개발사인 오픈AI는 할루시네이션 현상을 줄이기 위해 사람이 직접 좋은 데이터를 선별하고 초거대 AI의 답변을 평가하는 사람 피드백 기반의 강화학습(RLHF) 단계를 거듭 거쳐왔지만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했어요. 두 번째로 비실시간성은 말 그대로 최신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초거대 AI에 반영되지 못하는 현상인데요. AI가 학습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워낙 크다 보니 슈퍼컴퓨터로도 수개월의 학습 기간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최신 정보는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어요.

➡️ 네이버클라우드의 윤영진 AI 비즈니스 리더님은 이와 관련해 임베딩 API를 통한 해결을 제안했어요. 임베딩 API란 기업 내부의 문서나 지식을 초거대 AI가 학습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말해요. 이를 통해 기업 내부의 문서나 지식을 초거대 AI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DB화하고 초거대 AI가 해당 DB를 기반으로 답변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어요. 실제로 많은 기업이 이런 방식으로 초거대 AI를 활용하고 있어요.

🎯 또한 윤 리더님은 초거대 AI를 실제 비즈니스에 적용하고자 하는 스타트업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에 자동화하기보다 AI를 적용했을 때 효율성이 큰 부분부터 충분한 안전장치를 두고 단계적으로 적용해 나가는 것을 추천했어요. AI 도입을 검토 중인 스타트업이라면 윤 리더님의 충고를 참고하고 임베딩 API, 사용자 약관, 충분한 안내 등 리스크를 줄여나갈 방법을 고민한 후 적용하실 것을 권해요!

✔️
본 내용은 지난 5월 30일 네이버 클라우드, 뤼튼과 진행한 디캠프의 그룹 오피스아워 '초거대 AI시대, 스타트업이 똑똑하게 AI 활용하는 법'의 일부 내용을 재구성하여 만들었습니다. 다음 레터에서는 최근 일어난 초거대 AI의 발전에 대해 다뤄볼게요.

Read more

디캠프 X 캐비지, 어르신들과 함께한 아주 특별한 배식 봉사 현장

디캠프 X 캐비지, 어르신들과 함께한 아주 특별한 배식 봉사 현장

8월 20일, 디캠프와 디캠프 패밀리사인 캐비지(어글리어스, 대표 최현주)가 손을 잡고 사회공헌 캠페인의 일환으로 어르신들께 배식 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사회공헌 캠페인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아현뿌리복지센터에서 진행되었는데요, 마포구의 '효도밥상' 프로그램으로 타 지자체에서 벤치마킹하러 찾아올정도로 핫한 주민 참여형 지역공헌 사업이라고 합니다. 바로 이 곳에서 업무로 바쁜시간에도 짬을 내어 디캠프와

바이브코딩의 시대, 이제는 필수 스킬!

바이브코딩의 시대, 이제는 필수 스킬!

디캠프 8월 다이닝 - 바이브코딩의 시대 w 스페이스와이 디캠프 선릉과 마포에서 열린 8월 다이닝 세션이 성황리에 진행되었습니다. 8월 다이닝은 요즘 가장 주목받는 키워드인 <바이브코딩>을 주제로 열렸습니다! 이번 세션은 디캠프 패밀리사인 스페이스와이(대표 황현태)에서 바이브코딩이 무엇인지부터 활용 사례와 실습 등 알찬 구성으로 진행해주셨는데요, 단순한 이론 설명을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