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시간 근로자도 연차가 있을까요?

파트타이머 직원에게도 다른 직원과 동일하게 1년을 근무하면 15일의 연차휴가를 제공해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직원이 5명인 회사를 운영하는 스타트업 대표입니다. 회사 직원들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하루 8시간, 한 주에 40시간을 근로하고 있습니다. 직원 중 한 명은 파트타이머로 한 주에 20시간을 근로하고 있는데요. 한 주에 15시간 이상 근로하면 연차휴가를 제공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파트타이머 직원에게도 다른 직원과 동일하게 1년을 근무하면 15일의 연차휴가를 제공해야 하나요?

🧑‍💼 단시간 근로자란? 

한 주에 15시간 이상 근로하는 파트타이머 직원에게도 통상 근로자와 동일하게 연차휴가를 제공해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 단시간 근로자는 1주 동안 근무하는 소정근로시간이 같은 사업장에 근무하는 통상 근로자보다 짧은 근로자예요. 일반적으로 파트타이머 단시간 근로자에 해당하며, 1주에 40시간 미만으로 근로하죠.

💡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휴가 계산 방법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휴가 계산 방법은 통상 근로자와는 차이가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통상 근로자의 연차휴가 계산 방법은 입사 후 첫 1년 동안 80% 이상 출근 시 연간 15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해요. 근속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전년도의 출근율이 80% 미만이면 한 달 개근 시 하루의 연차휴가를 부여하죠. 그리고 근속기간이 2년 늘어날 때마다 연차휴가도 하루씩 늘어나고, 최대 25일을 부여해요. (근로기준법 제60조)

한편,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휴가는 시간 단위로 부여해요. ( 근로기준법 제18조 제1・2항 및 같은 법 시행령 별표2에서 규정한「단시간 근로자의 근로조건 결정기준 등에 관한 사항」 제4호(나목) )

⏰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휴가시간 = 통상 근로자의 연차휴가일수 × (단시간 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 통상 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 8시간

예를 들어 1주 40시간 근무하는 통상 근로자에게 1년에 발생하는 연차휴가는 15일(15 일*8시간=120시간)이 발생해요. 하지만 위 사례처럼 한 주에 15시간을 근로하는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휴가는 45시간(15일*15시간/40시간*8시간)이 발생하죠. 

💡 단시간 근로자가 아닌 주40시간 미만 근로자의 연차휴가 계산 방법

단시간 근로자는 같은 사업장에 통상 근로자가 있을 때 성립되는데요. 그렇다면 사업장에 통상근로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주40시간 미만으로 근무하는 근로자의 연차휴가는 어떻게 계산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위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휴가 계산 방법과 동일해요. 고용노동부는 ‘비교대상인 통상 근로자가 없는 1주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 미만인 근로자의 경우에도 위와 같은 방법을 준용하여 법정근로시간에 비례하여 연차유급휴가를 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라고 했죠. (고용노동부 2021. 12. 3. 임금근로시간과-2754) 

이렇듯 통상 근로자가 없는 한 주에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 미만인 근로자의 경우에도 위 계산 방법에 따라 동일하게 연차유급휴가를 부여하는 점 참고하세요.

✔️
본 내용은 노무법인 청록의 박상민 노무사님과 함께 작성하였습니다.

Read more

리서치의 깊이를 바꾼 글로벌 인재, 제이엠웨이브

리서치의 깊이를 바꾼 글로벌 인재, 제이엠웨이브

제이엠웨이브는 낡은 내연기관차를 단순 폐차하는 대신, 전기차로 개조해 다시 활용하는 혁신적인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자원 낭비를 줄이고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력은 ‘지속 가능한 전환’으로 이어지고 있어요. 특히 최근엔 동남아 시장 진출을 앞두고, 인도네시아 현지 언어에 능통한 글로벌 인재를 전략팀에 영입해 실질적인 성과로 연결했다고 하는데요. 전기차 개조 시장과 글로벌 확장 전략, 그리고 글로벌 인재와의 협업 이야기를 지금부터 들어볼까요?

글로벌 시각으로 숏폼 100만 조회수 달성, 더블유쓰리컴퍼니

글로벌 시각으로 숏폼 100만 조회수 달성, 더블유쓰리컴퍼니

글로벌 인턴십 리쿠르터 프로그램 참여기업 인터뷰 두 번째, 글로벌 소셜 디스커버리 서비스 '모지(Moji)'를 운영하는 더블유쓰리컴퍼니를 만났습니다. 특히 틱톡에서 100만 조회수를 기록한 숏폼 콘텐츠를 글로벌 인턴이 직접 제작했다는 점이 눈길을 끌었는데요. 글로벌 인턴 채용 과정부터 ‘원소스 멀티유즈(OSMU)'’ 전략으로 성공한 콘텐츠 마케팅의 비결까지, 더블유쓰리컴퍼니의 생생한 경험담을 들어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