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키티의 산리오, 꽃보다 남자의 TBS에게 러브콜 받는 비결
일본 정부의 5개년 스타트업 육성 계획 발표와 코로나로 인한 디지털화에 따라, 일본 시장 진출을 원하는 한국 스타트업이 증가하고 있어요.
🚀 스타트업 스토리
일본 정부의 스타트업 육성 5개년 계획이 발표되고, 코로나를 계기로 일본 사회가 빠르게 디지털화되면서 일본시장에 진출하고자하는 한국 스타트업들도 늘어나고 있어요.
확장현실(XR) 플랫폼 및 메타버스 기반 기술을 개발하는 애니펜은 이미 일본 시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스타트업 중 한 곳인데요. 최근 디캠프의 글로벌 커뮤니티 프로그램 모크토크에서의 만남을 계기로 '꽃보다 남자' 시리즈로 유명한 일본 방송국 TBS와 NDA(비밀유지계약)를 체결했고, 헬로키티로 유명한 글로벌 IP기업 산리오와는 2017년부터 지속적으로 협업을 진행 중이에요. 쟁쟁한 두 곳의 일본 기업으로부터 러브콜을 받은 애니펜의 전재웅 대표님을 만나봤어요.
⏳ 일본 시장의 공략, 인내심이 필요해요
전 대표님은 일본 회사와의 협업은 시간과의 싸움인 경우가 많았다고 회상해요. 일본 문화의 특성상 해외 기업이 신뢰를 얻기까지, 또 계약을 체결하고 실제 협업을 진행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이라고요. 하지만 당장 성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상대 회사가 원하는 바를 차분히 파악하고 관계를 쌓아나간다면 장기적으로 볼 때는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 전 대표님의 생각이예요. 전 대표님은 일본 파트너사와의 관계 구축을 위해서라면 한달에 1~2회 정도 일본을 방문해 기술 개발 상황을 업데이트하고 협업 방안을 논의하는 번거로도 마다하지 않았다고 해요.
👛 일본 시장의 장점은 '콘텐츠에 대한 가치 소비 문화'
전진웅 대표님은 일본 시장의 장점으로 '온오프라인 콘텐츠에 대한 가치 소비 문화'와 '높은 브랜드 충성도'를 꼽았어요. 일본 소비자들은 IP, 캐릭터 등 무형의 가치를 인정하고 본인이 좋아하는 콘텐츠에 기꺼이 돈을 쓴다고요. 또 고객으로 만들기는 쉽지 않지만 한 번 고객이 되면 높은 충성도를 보이는 일본 고객의 특성상 일본에서 꾸준히 사랑받는 IP와 협업해서 사업을 전개한다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고 해요.
🤚 모크토크, 앞으로도 자주 참석하고 싶습니다
애니펜은 지난 2월 '콘텐츠'를 주제로 진행된 '모크토크'를 통해 TBS와 처음 만날 수 있었어요. 개발하고 있던 기술과 TBS가 지향하는 목표점이 일치하는 부분이 있어 적극적으로 얘기를 나눴고, NDA까지 체결할 수 있었죠. 모크토크는 디데이가 매월 목요일 진행하는 현지 커뮤니티 프로그램인데요. 전 대표님은 일본 진출을 준비하거나 이미 진출해있는 스타트업들과 자유로운 얘기를 나눌 수 있는 분위기가 좋았다고 전했어요. 많은 정보를 교류하고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었던 만큼 앞으로도 자주 참석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남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