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팀 빌딩하기 : 채용 전략 가이드

앞서 살펴본 일본 채용 문화를 이해했다면, 채용을 진행하는 이유와 사업 목표, 그리고 목표 달성을 위한 채용 전략을 정리할 차례예요. 특히 일본 기업이 활용하는 채용 채널의 특장점과 목적은 한국과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숙지해둘 필요가 있어요.

성공적인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한 노하우 #10

앞서 9편에서 살펴본 현지 채용 문화를 이해했다면, 다음으로는 채용을 진행하는 이유와 사업 목표, 그리고 목표 달성을 위한 채용 전략을 정리할 차례예요. 특히 주요 채용 채널의 특장점과 목적은 한국과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숙지해둘 필요가 있어요.

🔎 채용 목표와 전략은 디테일하게

채용 목표는 결국 사업 목표와 밀접하게 연관될 수밖에 없어요. 일본에 법인을 세운 다음 언제까지 어떤 목표를 이루고 싶은지를 정리해야, 이를 위해 필요한 고용 형태와 직종, 채용 시기 등을 명확히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채용에 앞서 사업 목표를 명확하게 정의해야만 해요.

그리고 채용 전략 수립 과정에서는 무엇보다도 채용 타겟을 명확하게 설정해야 해요. 채용하려는 인재의 페르소나를 정의하고, 그들이 어떤 기업에서 일하고 있을지, 어떤 능력과 인성을 갖추고 있을지를 상상해 보는 작업인데요. 채용 인원이 반드시 갖춰야 하는 필수 역량과 권장 항목을 명료하게 구분해 두어야 우리에게 적합한 인재를 빠르게 구할 수 있어요.

끝으로, 우리 회사가 경쟁사 대비 구직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메리트와 상대적으로 열세인 요소 등을 정리해 두면 인재를 영입할 때 좀 더 설득력 있게 다가갈 수 있을 거예요. 

❓ 일본 기업이 활용하는 채용 채널

그렇다면 일본 현지 기업들은 어떤 채용 채널을 활용하고 있을까요? 채용 광고, 에이전트, 스카우트, 리퍼럴(Referral, 임직원 추천 채용) 등 채용 방법은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각 채널의 특성은 다른 점이 많아요.

채용 광고


  • 장점: 많은 사람에게 노출이 가능하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인재를 모집할 수 있어요.

  • 단점: 회사의 인지도에 따라 광고 효과가 다를 수 있고, 지원자가 많아지면 선별 과정에서 공수가 많이 들어요.

에이전트


  • 장점: 타겟 인재를 적은 공수로 만날 수 있어요.

  • 단점: 입사가 결정되면 연봉의 30%~50% 정도의 높은 수수료가 발생해요.

스카우트


  • 장점: HR 회사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타겟에게 직접 컨택할 수 있어요.

  • 단점: 콜드메일을 직접 보내야 해서 공수가 많이 들어요.

리퍼럴


  • 장점: 비용이 적게 들고, 소개를 통해 신뢰할 만한 인재를 채용할 수 있어요.

  • 단점: 컨택이 성사되기까지 대기 기간이 오래 걸릴 수 있어요.

✅ 한국 스타트업은 이렇게 채용해보세요

이상아 대표님은 그중에서도 스카우트와 에이전트를 병행하여 활용할 것을 추천해요. 스카우트를 통해 시장을 파악하고, 직무분석표(JD, Job Description)를 상세하게 다듬은 후 에이전트에게 전달하여 타겟에 맞는 인재를 추천받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죠. 물론 채용 상황에 따라 대규모 채용과 채용 브랜딩을 위한 채용 광고, 상시 채용 채널로서 비교적 적은 비용이 드는 리퍼럴을 병행 활용하면 좋아요.

일본 현지의 여러 채용 에이전트 가운데서도 이상아 대표님은 두다(doda), 비즈리치(BIZREACH), 유트러스트(YOUTRUST), 세 에이전트를 추천해요. 두다는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어 많은 수의 후보자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비즈리치는 고연봉 전문 인력에 특화되어 있어요. 유트러스트는 일본판 링크드인과 같은 서비스로 스타트업 인재들이 많이 애용하고 있어요.

💡
본 내용은 키카이토데아이 이상아 대표님과 함께한 디캠프 성장 프로그램 ‘글로벌 살롱’의 일부 내용을 재구성하여 만들었습니다.

Read more

리서치의 깊이를 바꾼 글로벌 인재, 제이엠웨이브

리서치의 깊이를 바꾼 글로벌 인재, 제이엠웨이브

제이엠웨이브는 낡은 내연기관차를 단순 폐차하는 대신, 전기차로 개조해 다시 활용하는 혁신적인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자원 낭비를 줄이고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력은 ‘지속 가능한 전환’으로 이어지고 있어요. 특히 최근엔 동남아 시장 진출을 앞두고, 인도네시아 현지 언어에 능통한 글로벌 인재를 전략팀에 영입해 실질적인 성과로 연결했다고 하는데요. 전기차 개조 시장과 글로벌 확장 전략, 그리고 글로벌 인재와의 협업 이야기를 지금부터 들어볼까요?

글로벌 시각으로 숏폼 100만 조회수 달성, 더블유쓰리컴퍼니

글로벌 시각으로 숏폼 100만 조회수 달성, 더블유쓰리컴퍼니

글로벌 인턴십 리쿠르터 프로그램 참여기업 인터뷰 두 번째, 글로벌 소셜 디스커버리 서비스 '모지(Moji)'를 운영하는 더블유쓰리컴퍼니를 만났습니다. 특히 틱톡에서 100만 조회수를 기록한 숏폼 콘텐츠를 글로벌 인턴이 직접 제작했다는 점이 눈길을 끌었는데요. 글로벌 인턴 채용 과정부터 ‘원소스 멀티유즈(OSMU)'’ 전략으로 성공한 콘텐츠 마케팅의 비결까지, 더블유쓰리컴퍼니의 생생한 경험담을 들어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