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잘러의 ABC를 공개합니다!

메이크밸류의 Konrad Lee 대표님은 일 잘하는 사람이 되는 방법으로 질문을 잘 만드는 것, 질문에 답하기 위한 구조를 미리 세우는 것, 그리고 결론부터 말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을 꼽았어요.

Image

🧐 어떻게 하면 일잘러(일 잘하는 사람)가 될 수 있을까? 커리어 엑셀러레이팅을 원하는 주니어라면 궁금할 수밖에 없는 문제일 텐데요. 메이크밸류의 Konrad Lee 대표님은 '일잘러의 ABC'로 1️⃣ 질문을 잘 만들고 (Ask the right question), 2️⃣ 질문에 답하기 위한 구조를 미리 세우고(Build the right structure), 3️⃣ 결론부터 말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conclude first), 세 가지를 꼽았어요.

🙋‍♀️ 먼저 좋은 질문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첫 질문이 중요한데요. 중요한 상위 질문부터 던져야 전체를 조망하고 중요하지 않은 단편적 문제에 매몰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왜 우리 회사 제품의 판매량이 떨어졌을까?"라는 질문에 "수요의 문제일까? 공급의 문제일까?"와 같은 상위 질문을 먼저 던지면 전체를 조망하며 원활하게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어요. 하지만 "소비자들이 경쟁 상품을 좋아하는 것 아닐까?"처럼 직관에 의존한 하위 질문을 먼저 던지게 되면 실제 원인을 찾기까지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쉬워요.

💡 둘째로 문제를 풀기 위한 구조와 로드맵을 먼저 그리면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이 되고 원하는 목표를 더 빨리 달성한다고 해요. 예를 들어 우리 서비스의 판매량이 떨어졌을 때 '마케팅 비용을 늘릴까?'라는 직관적 해결책을 내놓기보다 원인/해결책을 찾기 위한 가설 설정~검증의 과정을 5개 정도의 굵직한 스텝으로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접근 방식을 논의하면,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훨씬 효율적으로 변한다는 것이죠.

🗣️ 마지막으로 결론을 먼저 전달하면 상대방의 관심을 얻는 데 성공하고, 시간을 아끼는 효율적인 소통이 가능하다고 해요. 이 대표님은 더 구체적으로 (1) 결론을 먼저 말하고 (2) 구조화된 2~3가지 근거와 (3) 리스크를 제시한 뒤 (4) 다시 한번 결론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는 방식을 추천했어요. 또 말을 하다 보면 길어지기 쉽기 때문에 모든 대답은 1~2분 이내에 끝내야 한다는 생각을 갖는 게 좋다고도 덧붙였죠.

🧘 한편, Konrad Lee 대표님은 일잘러의 ABC 모두를 위한 전제로 '차분하게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 것 (Keep calm & think)'을 제시했는데요. 차분하게 생각하는 과정 없이는 직관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에요. 일잘러가 되고 싶다면 문제를 만났을 때, 일잘러의 ABC를 떠올리며 차분히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요?

Read more

디캠프 X 캐비지, 어르신들과 함께한 아주 특별한 배식 봉사 현장

디캠프 X 캐비지, 어르신들과 함께한 아주 특별한 배식 봉사 현장

8월 20일, 디캠프와 디캠프 패밀리사인 캐비지(어글리어스, 대표 최현주)가 손을 잡고 사회공헌 캠페인의 일환으로 어르신들께 배식 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사회공헌 캠페인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아현뿌리복지센터에서 진행되었는데요, 마포구의 '효도밥상' 프로그램으로 타 지자체에서 벤치마킹하러 찾아올정도로 핫한 주민 참여형 지역공헌 사업이라고 합니다. 바로 이 곳에서 업무로 바쁜시간에도 짬을 내어 디캠프와

바이브코딩의 시대, 이제는 필수 스킬!

바이브코딩의 시대, 이제는 필수 스킬!

디캠프 8월 다이닝 - 바이브코딩의 시대 w 스페이스와이 디캠프 선릉과 마포에서 열린 8월 다이닝 세션이 성황리에 진행되었습니다. 8월 다이닝은 요즘 가장 주목받는 키워드인 <바이브코딩>을 주제로 열렸습니다! 이번 세션은 디캠프 패밀리사인 스페이스와이(대표 황현태)에서 바이브코딩이 무엇인지부터 활용 사례와 실습 등 알찬 구성으로 진행해주셨는데요, 단순한 이론 설명을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