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계약 체결할 때 꼭 알아야 할 것

투자 라운드의 전반부는 사업의 성장 가능성을 알리는 단계이고, 후반부는 투자 조건을 협의하는 단계인데요. 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한 협상 노하우를 살펴보도록 해요.

💝 성장 인사이트: 재무 관점의 투자유치 전략 #3

Image

투자 라운드의 전반부가 IR 자료를 토대로 사업의 성장 가능성과 가치를 알리는 설득 단계라면, 후반부는 본격적으로 투자 조건을 검토하고 협의하는 협상 단계라고 할 수 있어요. 투자유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짓기 위한 협상의 노하우를 알아볼까요?

🧑‍⚖️ 기업 가치 협상하기

지난 1편에서 필요한 투자금을 기업가치의 10~20%로 역산하여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방법을 언급했죠? 그 외에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기업가치를 산정할 수 있어요. PER(주가수익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등 상장 기업의 가치를 가늠하는 전통적인 평가 방법인 멀티플 접근법을 스타트업의 여건을 고려해 다음과 같이 변형해 볼 수 있죠.

  • PSR(주가매출비율): 스타트업은 빠른 성장을 추구하기 때문에 매출이 높아도 투자 비용이 큰 경우가 많아요. 이런 특성을 고려해 이익이 아닌 매출을 기준으로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방법이에요. 커머스, 구독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해요.
  • Price/GMV Ratio(주가거래액비율): 플랫폼 기업의 경우엔 중개/직거래에 따라 회계상 매출의 차이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매출이 아닌 거래액(GMV)을 기준으로 가치를 산정하기도 해요. 전체 기업 가치를 거래액의 N배로 보는 식이죠.
  • MAU(월활성사용자수) 기반 전망: 사용자 서비스의 경우, 유료화 대신 사용자 증가에 집중하는 경우도 있어요. 이때는 MAU 증가에 비례해 미래의 매출, 거래액 전망을 담은 사업계획을 토대로 기업가치를 제시해요.

그 밖에도 시장의 국내외 유사기업의 가치를 비교하는 방법, 회사의 꿈의 크기를 설득하는 방법(Price Dream Ratio∙주가꿈비율), 핵심인재를 기업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예: 박사급 인력 N명x가치) 등도 있어요. 기업가치 평가에는 하나의 정답이 없는 만큼, 상황에 맞는 평가 방식을 택해 설득의 논리를 만드는 게 좋겠죠?

🧑‍⚖️ 투자 실사 준비

지난 콘텐츠 ‘스타트업 외부 감사 단골 이슈 8가지’에서 스타트업 외부 감사와 재무 실사에서 자주 지적받는 이슈를 알아봤죠? 매출액 인식 오류, 총액/순액 인식 등 스타트업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재무 이슈를 잘 파악해야 실사 대비가 가능하기 때문에 김 대표님은 세무회계 중심의 세무법인보다는 발생주의 회계기준에 익숙한 회계법인을 통해 투자 실사에 대비하라고 조언해요. 또 시리즈 A 이전에는 투자 실사가 투자 결정에 큰 영향력이 없지만 뒤로 갈수록 중요해지는 만큼, 시리즈 B~C 이후로는 가급적 자체 기장을 통해 재무실사를 대비하기를 권한다고요.

🧑‍⚖️ 투자계약의 종류

본격적으로 투자 조건을 논의하기 전 투자계약의 종류를 이해해야 해요. 주요 투자계약 유형으로 보통주, 전환상환우선주, 전환사채가 있는데, 각각 의결권과 이익배당/잔여재산 배분 우선권, 상환권, 전환권 유무에 차이가 있어요. 하나씩 살펴보면 의결권은 주주가 주주총회에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이고, 이익배당/잔여재산 배분 우선권이란 배당금이나 기업 청산 시의 잔여재산을 먼저 배분받을 권리예요. 상환권은 투자자인 주주가 회사에 자신의 주식을 되팔 권리, 전환권은 소유한 유가증권을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를 말하고요. 각 유형의 차이는 다음과 같아요.

  • 보통주(Common Stok): 의결권이 있고, 이익배당/잔여재산 배분 우선권과 상환권은 없어요. 주로 엔젤 투자자나 시드머니 투자자의 투자 유형에 해당해요. 참고로, 보통주와 구별되는 우선주는 배당과 잔여재산 배분을 보통주보다 우선 받을 수 있는 대신,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도 많아요.
  • 전환상환우선주(RCPS): VC와 엑셀러레이터 등 기관투자자들이 주로 택하는 투자 유형으로, 이름 그대로 전환권과 상환권을 모두 가지고 있어요. 이익배당/잔여재산을 우선 배분 받는 우선주이지만 보통주와 동일한 의결권도 행사할 수 있고요. 다만, 상환권은 기간과 조건을 충족할 경우 행사할 수 있고, 상법 상 처분 가능한 이익잉여금이 있어야만 청구할 수 있어요.
  • 전환사채(CB): 자금을 빌려주는 개념으로, 의결권과 이익배당 우선권이 없지만 이자를 지급하고 이익잉여금과 무관하게 만기 시점에 상환해야 해요. 조건에 따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고 회계 상은 부채로 처리해요. VC, 자산운용사, 증권사 등 투자 후기 단계의 기관투자자가 주로 해당해요.

이처럼 투자계약마다 권리와 의무가 상이하기 때문에, 김 대표님은 협의 단계에서 꼭 텀시트(Term Sheet)를 받아 사전에 투자 조건을 조율하라고 조언해요. 텀시트는 투자자가 투자계약의 조건을 간략하게 작성한 서류로, 이를 생략하면 계약서가 구두로 논의한 것과 다르게 작성될 수 있고 독소조항을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해요. 투자유치의 성패도 중요하지만, 투자계약은 사후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단계인 만큼 꼼꼼하고 신중하게 검토하시길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파인드어스 김판준 대표님과 함께한 디캠프 성장 프로그램파이낸스 살롱’의 일부 내용을 재구성하여 만들었습니다. 초기 스타트업이 겪는 재무 고민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Read more

리서치의 깊이를 바꾼 글로벌 인재, 제이엠웨이브

리서치의 깊이를 바꾼 글로벌 인재, 제이엠웨이브

제이엠웨이브는 낡은 내연기관차를 단순 폐차하는 대신, 전기차로 개조해 다시 활용하는 혁신적인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자원 낭비를 줄이고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력은 ‘지속 가능한 전환’으로 이어지고 있어요. 특히 최근엔 동남아 시장 진출을 앞두고, 인도네시아 현지 언어에 능통한 글로벌 인재를 전략팀에 영입해 실질적인 성과로 연결했다고 하는데요. 전기차 개조 시장과 글로벌 확장 전략, 그리고 글로벌 인재와의 협업 이야기를 지금부터 들어볼까요?

글로벌 시각으로 숏폼 100만 조회수 달성, 더블유쓰리컴퍼니

글로벌 시각으로 숏폼 100만 조회수 달성, 더블유쓰리컴퍼니

글로벌 인턴십 리쿠르터 프로그램 참여기업 인터뷰 두 번째, 글로벌 소셜 디스커버리 서비스 '모지(Moji)'를 운영하는 더블유쓰리컴퍼니를 만났습니다. 특히 틱톡에서 100만 조회수를 기록한 숏폼 콘텐츠를 글로벌 인턴이 직접 제작했다는 점이 눈길을 끌었는데요. 글로벌 인턴 채용 과정부터 ‘원소스 멀티유즈(OSMU)'’ 전략으로 성공한 콘텐츠 마케팅의 비결까지, 더블유쓰리컴퍼니의 생생한 경험담을 들어볼까요?